제조업과의 관계


제조 인력 관련 연구 동향


제조업 인력과 관련된 연구 보고서, 자료는 다양하게 나와 있습니다. 






그 간 연구의 한계


문제 제기에 그침


그간의 연구 자료를 확인해 보면 문제 진단에만 그치고 각 지자체별, 제조 산업별 솔루션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팩토리화, AI 도입 등으로 비첨단 제조업도 SW 인력 확보가 점점 더 필요해지는 상황이지만 어디에서 이런 인력을 구하기 쉬운가에 대해서는 현재(2025.06.)까지도 명확히 설명을 해 주는 자료는 찾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원인으로 많은 중소 제조기업, 외국인 투자기업이 인력 확보가 보다 용이한 공장 입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또한 이런 부분은 인력 확보가 용이한 산업단지 조성 검토 등 제조업과 관련된 다양한 사항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제조업 인력 확보 해결 방안


어디에 인구가 많은가? 그리고 어디로 인구가 모여들고 있는가?


1970 ~ 80년대 제조 산업은 소프트웨어 관련 인력이 지금처럼 필요치 않았습니다. 그렇기에 인구가 적은 지역으로 공장 이전을 정책적으로 유도하여도 제조 기업은 인력 확보가 가능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많은 제조 산업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도심 집중 현상으로 우리나라 인구는 특별시, 광역시, 경기도, 청주시 등 일부 기초자치단체에 밀집되어 있습니다. SW 인력은 이런 인구 밀집지역에서 확보하기가 용이합니다. 즉, 제조 산업도 '인력' 관점으로 보면 인구가 모이는 지역에서 할 수밖에 없는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제조 산업을 도시 외곽이나 인구 소멸 지역으로 이전시키려는 정책에는 변화가 필요합니다. 특히 원가 변동에 큰 영향을 받는 비첨단 제조업(소규모 식품 제조업 등)에 대한 공장 입지 정책 변화가 필요합니다. 

 

2010년 인구 분포, 통계청2020년 인구 밀도, 통계청2020년 인구 밀도(작성자 링크)



인구 소멸 지역과 제조 산업


우리나라는 주거지 중 '아파트, 연립/다세대'가 전체 주택 종류에서 79.1%를 차지합니다. 


주택종류별 구성비, 2000 ~ 2023년시도 및 주택종류별 주택 구성비, 2023년

* 출처 :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이 주거 건축물들은 특정 지역에 밀집되어 있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수도권, 광역시 등 일부 지역에 밀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구 자료와 교차 검토를 해 보면, 인구 밀집 지역과 '아파트, 연립/다세대' 건축물 밀집지역은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 연립/다세대 건축물 분포 현황>


이 점이 시사하는 바는 주거 건축물 유형별 분포 현황이 제조 인력 확보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입니다. 


한국은 주거 건축물 자체도 '아파트, 연립/다세대'가 많지만, 한국인들도 이 주거 건축물을 선호합니다. 

그렇기에 제조 인력 확보가 용이한 곳은 이 주거 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입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인구가 감소하는 지자체인데, 주요 주거 건축물이 특정 지역에 모여 있고, 미용실, 학원, 병원도 이 건축물들이 밀집한 지역에 밀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명확합니다. 


인구 감소 지역은 공장이 이 주거 밀집 지역에 가까운 곳에서 위치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산업단지도 이 곳에 최대한 가까운 지역으로 조성해야 하고, 도심지 내에서 제조업을 할 수 있는 '제조업소(2종 근생)'도 이 곳에서 손쉽게 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해야 합니다. 지방 소멸 대응에 대한 제조업 관점의 해결 방법은 있습니다.  


아파트, 연립/다세대, 다가구 건축물 분포 현황
미용실 · 이용원 분포 현황
학원 분포 현황
병원 분포 현황


당신의 성공을 위한,

가장 좋은 공간을 소개합니다.

회사정보

대표 | 천준혁   사업자번호  | 276-13-0198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제2024 - 충남천안 - 0789 호   

주소 | 충남 천안시 서북구 백석공단1로 10 262호   

E-mail | seongjang@seongjang.co.kr  Tel | 041-555-0349

입금계좌 | 기업은행, 천준혁, 028-035653-02-011 

Copyright ⓒ 2024 성장팩토리

게시물, 카테고리 등의 무단 복제는 관련 법령에 저촉됩니다. 한국저작권위원회 편집저작물(홈페이지) 등록 | 등록번호 제 C-2022-051208 법령은 제 · 개정이 자주 이뤄집니다. 법령 안내 내용은 참고로 활용하고, 법제처 등에서 법령 제 · 개정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mobile background

당신의 성공을 위한, 가장 좋은 공간을 안내합니다.

성장팩토리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회사정보


대표 | 천준혁

사업자번호 | 276-13-01983

E - mail | seongjang@seongjang.co.kr  Tel | 041-555-0349

Copyright ⓒ 2025 성장팩토리


게시물, 카테고리 등의 무단 복제는 관련 법령에 저촉됩니다. 한국저작권위원회 편집저작물(홈페이지) 등록 | 등록번호 제 C-2022-051208

법령은 제 · 개정이 자주 이뤄집니다. 법령 안내 내용은 참고로 활용하고, 법제처 등에서 법령 제 · 개정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